2014년 6월 30일 월요일

4. 프로젝트 통합 관리 (2)

4.2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개발 
Develop Project Management Plan is the process of defining, preparing, and coordinating all subsidiary plans and integrating them into a comprehensive project management plan.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개발은 모든 보조 계획서들을 정의, 준비, 조정하고 관리 계획서에 통합하는 프로세스로써, 프로젝트가 종료될 때까지 점진적이고 구체적으로 개발되며 4.5 통합 변경 통제 수행을 통해서 승인된 내용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됨.



주요 Inputs
1) 프로젝트 헌장 - 4.1 에서 작성된 헌장에는 프로젝트 목적을 포함한 상위 수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관리 계획서를 개발할 때 반드시 참조해야 함.

2) 다른 프로세스의 산출물 - 5. 범위 ~ 13. 이해관계자 관리의 기획 프로세스 산출물인 기준선 및 보조 관리 계획서들을 통합하여 관리 계획서를 작성함.
4.5 통합 변경 통제를 통해서 승인된 변경 사항을 업데이트하기도 함.

Outputs 
1) Project Management Plan
요약 또는 상세 수준으로 작성되며, 프로젝트의 실행, 감시 및 통제, 종료의 기준 문서로 활용
- 선정된 프로젝트 life cycle 및 각 단계 별 프로세스 포함
-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도구 및 기법 등
- 변경 감시 및 통제를 위한 변경 관리 계획서
- 형상 관리 수행을 위한 형상 관리 계획서
- 이해 관계자들의 의사소통 요구 및 방법 등


프로젝트 수행의 기준 문서는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이고, 기타 다른 문서들은 프로젝트 문서라고 하며, 각각의 문서 예시는 아래와 같음.





4. 프로젝트 통합 관리 (1)


프로젝트 통합 관리는 관리 프로세스 그룹에 속하는 다양한 프로세스와 관리 활동들을 식별, 정의, 결합, 통합 및 조정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와 활동들을 포함한다.



4.1 프로젝트 헌장 수립

  •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PM에게 권한을 부여함.
  • 요구 사항 수집, 상위 수준의 이해관계자/리스크 식별, 일정 및 원가 관리 계획서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준 문서로 활용됨.
  • 프로젝트 헌장은 스폰서 조직이 작성하고 승인
  • PM은 프로젝트 초기에 선임되어야 하며, 헌장을 개발하는 동안, 반드시 기획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전에 선임되어야 함.
주요 투입물 (Inputs):
1) 작업 기술서 (Project Statement of Work ) - 프로젝트의 겨과로 제공해야 할 제품이나 서비스를 상세하게 기술한 문서, 승인된 프로젝트에서 할일에 대한 상위 수준의 요구 사항을 기록
- 비즈니스 요구 사항, 제품 범위 명세서, 조직 전략적 계획을 포함.
- 내부 프로젝트의 경우: 착수자나 스폰서가 비즈니스 요구, 제품 또는 서비스 요청 사항을 토대로 작업 기술서를 제공.
- 외부 프로젝트의 경우: 고객이 RFP, RFI, RFB와 같은 입찰/계약 서류의 일부로 작업 기술서 제출

2) 비즈니스 케이스 (Business Case)
조직의 비즈니스 관점에서 투자할 가치가 있는지 검토한 판단 근거를 기록한 문서 
- Cost-Benefit Analysis 를 통해서 제공

3) 협약서 (Agreements)
외부 고객을 위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구매자/공급자 사이 자율적으로 협약한 내용이 포함된 광범위한 문서

4) 기업 환경 요인 (Enterprise Environmental Factors: EEF)
- 조직 외부 환경: 정부/산업 표준, 시장 여건
- 조직 내부 환경: 조직 문화/구조

5) 조직 프로세스 자산 (Organizational Process Assets: OPA)
- 프로세스와 절차: 조직의 표준 프로세스/정책, 프로젝트 헌장 개발 템플릿
- 조직 지식 기반: 선례 정보 및 습득한 교훈 지식 기반

도구 및 기법 (Tools & Techniques : T&T)
1) 전문가 판단 (Export Judgement: EJ)
해당 업무나 유사 업무에 대한 지식을 보유한 인적자원/전문가 시스템 활용

2) 촉진 기법 (Facilitation Techniques)
Facilitator (촉진자)가 주체가 되어 프로젝트 팀과 팀원이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돕는 기법
- Brainstorming
- 갈등/분쟁 해결 (Conflict Resolution)
- 문제 해결 (Problem Solving)
- 미팅/회의 관리 (Meeting management)

**산출물 (Outputs)
1) 프로젝트 헌장 (Project Charter) 
- 프로젝트의 시작을 알리는 공식적인 문서
- 시작 승인 및 재정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젝트 착수자 (Initiator)/스폰서 (Sponsor) 가 작성
- PM을 선임하고 조직의 자원을 투입할 수 있는 권한 부여
- 주요 이해 관계자들의 서명을 마지막에 받음
- 상위 수준의 프로젝트 목적, 요구사항, 제약 사항, 가정 사항 등 포함






2014년 6월 28일 토요일

3.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프로세스란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 결과를 생성하고자 수행하는 관련 조치나 활동들로서 투입물, 적용할 수 있는 도구나 기법, 그리고 결과로 생성되는 산출물로 구성됨.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그룹 (또는 프로세스 그룹)은 아래와 같이 5개 그룹으로 구성됨.

  1. 착수 (Initiating): 기존 프로젝트의 새로운 단계 또는 새 프로젝트 정의/승인 받아 시작
  2. 기획 (Planning): 프로젝트의 범위 설정, 목표 구체화,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 계획/관리
  3. 실행 (Executing): 프로젝트 명세서/관리 계획서에 정의된 작업 수행
  4. 감시 및 통제 (Monitoring & Controlling): 진행 성과 추적/검토/조정/변경 등
  5. 종료 (Closing): 모든 활동을 종료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며 프로젝트/단계 공식적으로 종료
프로세스 그룹의 특징:
  1.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수행된 조치는 해당 프로세스 및 다른 프로세스에도 영향을 미침
  2. 프로세스 그룹은 각각의 산출물을 통해 서로 연결됨
  3. 프로세스 산출물은 다른 프로세스의 Input/Output이 됨
  4. 프로세스 그룹은 산업 전반에 적용되며 What만 정의해주고 How 등 가이드 제공은 하지 않음.

감시 및 통제 프로세스 그룹은 전체 실행 영역과 지속해서 상호 작용 함.

각 프로세스 그룹 및 지식 영역 별 프로세스의 관계는 아래 표에서 확인 가능.


* 착수 프로세스 그룹에서는 4.1 프로젝트 헌장 개발, 그리고 13.1 이해관계자 식별 프로세스가 중요.
* 종료 프로세스 그룹에서는 4.6 프로젝트 또는 단계 종료, 그리고 12.4 조달 종료 프로세스가 중요.

각 지식 영역 별 프로세스는 PMBOK 4장부터 설명이 되어 있으며, 위표에 표시되어 있는 각 프로세스 번호가 PMBOK의 장임.

[Binder] Native Service Example 2

I'll try to finish off Client part



class BpLcdService : public BpInterface
{
public:
 BpLcdService(const sp& impl): BpInterface(impl) {}

 virtual void LcdOn()
 {
  Parcel data, reply;
  remote()->transact(LCD_ON, data, &reply);
 }

 virtual void LcdOff()
 {
  Parcel data, reply;
  remote()->transact(LCD_OFF, data, &reply);
 }
};
IMPLEMENT_META_INTERFACE(LcdService, "android.app.lcdcontrol")

sp<ILcdService> LcdService()
{
sp<IBinder> binder = defaultServiceManager()->getService(String16("LcdService"));
return interface_cast<ILcdService>(binder);
}


This client does not have main() as I intended to make this as shared library file (.so) so I can call LcdOn/Off methods from Java application with Java Native Interface.

[Binder] Native Service Example 1

Here I'm going to make a native service for turning on/off LCD screen, and a client that make a request to the native service. At the end I will try to install a client application to my Android phone and see whether it actually work as intended.

Basically the flows looks like this:



Android uses some prefixes like Bp, Bn,
Bp stands for Binder Proxy (client side) whereas Bn stands for Binder Native, this one is for service server side. That's why we have BpLcdService, BnLcdService.

ok .. firstly in order to communicate between client and server, there should be some sort of protocol
so we define ILcdService that contains only two virtual methods. Whoever that use this protocol must provide LcdOn/Off methods.

class ILcdService : public IInterface
{
public:
       DECLARE_META_INTERFACE(LcdService)
       enum { LCD_ON = 1, LCD_OFF };

       virtual void LcdOn() = 0;
       virtual void LcdOff() = 0;
};

IInterface (in Android F/W) provides asBinder() method to convert the type of ILcdServce to IBinder. Why we need this conversion is that during IPC , IBinder type object will be stored in RPC data and sent to Binder driver. In other words say when registering LcdService to the System, Service Manager needs to send RPC data with service object (BBinder type) to Context Manager. In this process service will be converted to IBinder type and sent to Binder Driver.




2014년 6월 27일 금요일

What's Binder?

Everyone including app developers in Android world  may have heard about Binder, but I was wondering what exactly binder is and how that works. the following is what I've found so far.

Brief History of Binder?
Binder was originally made by George Hoffman as OpenBinder project for BeOS (I do not know why that lived for short time, will appreciate if anyone go find out and share some ideas/opinions)
Anyway OpenBinder project was carried out by Dinnie Hackborn after Be Inc. was acquired by Palm... and Dinnie moved to Google >>>> developed Binder in Android what we're using now.

Why use Binder? We can still use Inter Process Communication like sockets and pipes. Answer for this question would be performance. In Android all system functions are provided as server processes that means an optimized and fast communication method is required. Binder use a kernel memory, that's shared between all processes to minimize memory copy overhead, and provides Remote Procedure Call as well.

Benefits of adopting Binder mechanism seems very similar to those of Microkernel OS.
- It's easy to add a new service or remove an existing function
- It's not necessary to test the entire services, only limited components => easy to test
- Communication between processes is handled through Binder, so it guarantees transparency between components.


The following diagram depicts how Binder works in Android system, as previously mentioned two processes communicates through Binder





2014년 6월 26일 목요일

How to Copy & Paste in Android (Clipboard)

When we run applications like Google Drive, Gmail, or any text editing apps, it's easy to copy and paste something. it's possible to grab an image from browser and paste it in memo app as well.

how does this work?
If you go through Android Developers site, you can find ClipBoard Framework.
Basically Android provides ClipBoard Framework for specifially Copy & Paste.
The following digram (taken from Android Developers site) shows flow and how this works.




Google provides basic fundamental framework and I believe manufacturers like LG, Samsung did some customization this framework, for example on my LG phone, custom UI appears when copying some images & texts on browser (allowing max. 10 items to be stored in clipboard)
 
Anyway it's really easy to use ClipBoard Framework
The text that's being copied to Clipboard here is CopyText, the selected & copied text from TextView or EditText. The code snippets is really simple and clear.

ClipboardManager clipboard = (ClipboardManager) getSystemService(Context.CLIPBOARD_SERVICE);

ClipData clip = ClipData.newPlainText("Clip",CopyText);
Toast.makeText(mContext, "Copied to Clipboard", Toast.LENGTH_SHORT).show();
clipboard.setPrimaryClip(clip);


In order to paste, firstly check if  there exist a clip then get Item from clip. That's all.
I'm ready to paste.. done.

ClipboardManager clipboard = (ClipboardManager) getSystemService(Context.CLIPBOARD_SERVICE);

if(clipboard.hasPrimaryClip()== true){
 ClipData.Item item = clipboard.getPrimaryClip().getItemAt(0);
 pasteText = item.getText().toString();
 pasteTxt.setText(pasteText);
}



2014년 6월 25일 수요일

2. 조직의 영향력과 프로젝트 생애 주기

2. Organizational Influences and Project Life cycle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조직 문화/스타일/의사 소통 방법/조직 구조/조직 프로세스 자산 (Organizational Process Assets: OPA)/기업환경요인 (Enterprise Environmental Factor: EEF) 같은 항목들이 부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프로젝트에 영향을 준다..

1. 조직 구조
 조직의 유형은 기능, 매트릭스, 프로젝트 조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능 조직은 전통적인 조직 구조로 각 부서별로  장이 있는 것과 비슷하며,
프로젝트 조직은 프로젝트 특징과 분야 별로 조직을 구성하는 형태이며, SI 업체와 비슷하다
매트릭스는 기능과 프로젝트 중간 단계임..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균형 매트릭스 조직으로, 예산 관리 담당의 주체, PM/PMO의 전임/시간제 등을 눈여겨 봐야 한다...

2. 조직 프로세스 자산 (OPA)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조직에 지정되어 사용되는 계획, 프로세스, 정책, 절차, 지식 기반
- 각종 템플릿 (e.g. WBS)
- 조직 표준, 절차 등(e.g. 품질 정책)
- 프로젝트 종료 지침 및 요구 사항
- 형상 관리 지식 기반
- 선례 정보와 교훈 지식 기반
- 과거 프로젝트의 프로젝트 파일 등등

3. 기업 환경 요인 (EEF)
프로젝트 팀의 통제관 범위 밖에 있으며 프로젝트에 영향을 주고, 제약을 주며, 방향을 제시하는 조건...
- 조직 문화/구조, 인사 행정
- 정치 풍토, 정부/산업 표준
- 인프라/시스템 등등

4. 이해관계자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서 긍정적/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조직

* 스폰서: 주로 경영층이 담당자, 프로젝트 재정적 자원을 제공하는 개인/그룹으로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승인하며, 중요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음.

5. 프로젝트 생애 주기
- 예측형 (Predictive): 요구 사항 명확하며, 프로젝트 시작 시점에 모든 계획 확정 (e.g. Waterfall)
- 적응형 (Adaptive): 초기 요구 사항 불분명하나 갈수록 명확해지며, 시작 시점에는 대략적인 계획만 수림하며 단계별로 세부 계획 수립 (e.g. Agile)

* 이해관계자의 영향력,리스크, 불확실성은 프로젝트 초기에 높으며 갈수록 낮아짐..
* 변경 및 오류 정정 비용은 반대로 프로젝트 초기에 낮으나 갈수록 높아짐..

프로젝트 생애 주기와 프로세스 그룹은 다름
프로젝트 생애 주기는 개시, 구성/준비, 작업 수행, 종료로 구분되지만
프로세스 그룹 (착수, 기획, 실행, 감시/통제, 종료)은 전체 프로젝트에서 한번만 실행될 수도 있고, 프로젝트 단계별로 수행될 수도 있음...



1. PMP Intro

첫 번째 장인 서론은 아래와 같은 항목들을 소개하는 것으로 내용을 이해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

  • 프로젝트 정의 및 특징
  • 프로젝트 관리
  • 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 관리, 프로젝트 관리 등 연관 관계
  • 프로젝트 관리자(PM)의 역할
  • 프로젝트 관리와 운영 관리의 차이점 등등


1.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고유한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물을 창출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투입하는 노력이다..
- 한시성/일시성 (Temporary): 프로젝트의 시작과 끝이 정해져 있음
- 유일성 (Unique): 고유한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물을 산출한다.
- 점진적 구체화 (Progressively elaboration): 프로젝트에서 산출되는 제품이나 결과물들은 반복적이며 점진적인 방법으로 갱신되면서 구체화된다는 의미이다..

2. 포트폴리오 & 포트폴리오 관리
포트폴리오는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 프로그램, 하위 포트폴리오 및 운영업무의 집합체이며, 포트폴리오 관리란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포트폴리오를 중앙 집중 방식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 프로젝트나 프로그램들이 서로 의존 관계에 있지 않아도 됨.
- 조직의 전략과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생성


3. 프로그램 & 프로그램 관리
개별적으로 관리해서는 실현할 수 없는 혜택을 얻기 위해 통합으로 관리하는 관련 (하위) 프로젝트,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 그룹

프로그램 관리는 프로그램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개별적인 관리로는 달성되지 않는 혜택과 통제를 실현하고자 지식, 기량, 도구 및 기법을 프로그램에 적용하고 관리하는 방식이다..

4.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지식, 기술, 도구, 기법 등을 프로젝트 활동에 적용하는 것을 프로젝트 관리라고 한다...
- 5개 프로세스 그룹 (착수, 기획, 실행, 감시 및 통제, 종료)
- 47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프로젝트/프로그램/포트폴리 관리 비교


5. 프로젝트 관리 오피스 (PMO)
프로젝트 관련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자원, 방법론, 도구, 기법 등의 공유를 촉진하는 관리 조직
- 지원형 (Weather station): 다른 프로젝트에서 얻은 교훈/정보 등을 제공, 통제력 낮음
- 통제형 (Coach): 다양한 수단을 통해 지원하고 준수 사항 요구, 통제력은 보통
- 지시형 (Control tower): 프로젝트를 직접 관리, 통제 지휘, 높음

6. 프로젝트 관리자 (PM)
조직에서 프로젝트 목표 달성 책임을 갖는 팀의 리더/책임자
조직의 구조에 따라 기능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도 있음. 
- 기능 관리자: 기능 또는 사업 부분의 관리 감독에 집중
- 운영 관리자: 비즈니스 운영의 효율을 유지하는 책임

PM은 작업/팀 요구 사항, 개인별 요구 사항을 충족시켜야 할 책임이 있으며, 프로젝트에 필요한 해당 분야의 기술 역량, 관리 능력도 요구됨.

PM은 프로젝트의 책임을 지는 사람으로, 대인 관계 기술도 필요함...
- 리더십, 팀 빌딩, 코칭, 의사소통, 동기 부여, 협상, 갈등 관리 등등등

0-0. What's PMP? Why PMP?

학교 졸업 후 단독으로 개발 업무도 해 보고 다른 사람들과 같이 협업도 많이 해 보았다..
그런데 가끔은 협업하는 게 너무나도 힘들 때가 있다.. 나만 그런건가?
특히 커뮤니케이션 ㅠ 그리고 같은 눈높이에서 정상을 바라보기도 너무 힘들더라...

암튼 그러던 중 PMP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이라는 자격증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궁금해서 이것 저것 찾아보았고.. 자기 개발 차원에서 한번 도전해 보기로 했는데..공부해야 하는 범위가 장난이 아니네.. 허허..


PMP는 무엇? 도움이 되나?
PMP는 앞에 언급했듯이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이란 용어를 그대로 해석하자면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 정도 되겠다..

PMI (http://www.pmi.org/) 협회에서 주관하는 자격 시험으로 전세계적으로 그 공신력을 인정 받는 자격임에는 틀림이 없는 듯하다.. LG CNS나 삼성 SDS 같은 프로젝트를 주업무로 하는 회사들에서는 PM이 되기 위해서 필수로 따는 자격증인가 보다..

PMP의 목적은 단순하다 프로젝트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프로젝트 관리의 전문성을 배양하면서 체계적인 PM 기법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PMP는 일종의 프로젝트 관리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것으로 IT를 비롯해, 조선, 건설, 제조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회사에서는 PMP 교육 과정 및 취득 비용을 모두 지원하기도 하고, 승진 등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하니..

그럼 누구나 시험 신청이 가능한 건가?
공신력 있는 자격증이니 만큼.. 기본 요구 사항을 만족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학사 학위 이상인 경우에는 최소 4,500 시간 (36개월) 이상의 프로젝트 실무 경험이 필요하고
전문대나 고졸 이하 인경우에는 최소 7,500 시간 (60개월) 이상의 경험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통으로 35시간 이상의 PM 교육이수가 필요하다..

비용은?
PMI 비회원인 경우 $555
PMI 유료 회원인 경우 $405불 (회원비: $129) 이니, 유료회원이 싸네..

PMP 취득 이후에도 자격 유지를 위해서는 3년 주기로 60 교육 학점 (PDU)를 채워야 한다네..
한번 자격증 따면 그만이 아니었네...


참고 사이트: PMI (http://www.pmi.org/)

0-1 PMBOK 5th edition + 책?

PMP 공부를 위한 수험 가이드를 한번 살펴 보았다..시중에 나와 있는 책들이 좀 됨...
그럼 어떤 책을 봐야하나? 음...
이 수험서들은 PMI에서 publish하는 PMOBOK Guide 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사실 내용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 않을 까 싶고,, 아마도 기출 문제와 해설이 약간씩 다르지 않나 싶다..

암튼 PMBOK 5th edition을 먼저 보고 가장 최근에 출판된 PMP Pride를 한번 참고해 보기로..


PMBOK 5th edition의 기본 구성은 아래와 같으며, 참고 교재인 PMP Pride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제 본격적으로 각 챕터별로 공부를 시작해 봐야 겠다.

  1. 서론
  2. 조직의 영향력과 프로젝트 생애주기
  3.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4. 프로젝트 통합 관리
  5. 프로젝트 범위 관리
  6. 프로젝트 일정 관리
  7. 프로젝트 원가 관리
  8. 프로젝트 품질 관리
  9. 프로젝트 인적 자원 관리
  10. 프로젝트 의사 소통 관리
  11.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12. 프로젝트 조달 관리
  13.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관리